라이프시맨틱스
소식

2022년 05월 20일

한국 2045년 세계 1위 고령국가…시니어 위한 실버테크 산업 확장 중

국내 고령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UN 발표자료에 따르면 2045년 우리나라는 세계 1위 고령국가가 된다.
실제 통계청의 ‘2021 고령자통계’를 보면 75세 이상 초고령자들이 증가해 2040년이 되면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초고령 노인이 51.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고령인구 증가와 함께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실버산업’ 관련 서비스들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이 더해지며 친고령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산업을 이끌어가는 세대가 2040 젊은 세대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에 아이디어와 IT기술을 접목한 스타트업들이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현황들을 소개한다.

(중략)

◆라이프시맨틱스, 확장현실(XR) 트윈 기술 개발
라이프시맨틱스는 최근 ‘노인 만성 피부질환 관리를 위한 확장현실(XR) 트윈 기술개발 과제’ 연구개발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번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디지털치료제 활성화를 위한 XR핵심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 광일섬유, 한국광기술원 등과 함께 공동연구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주요 연구 대상은 만성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이다.
공동연구개발기관들은 고령자들이 감각이 저하되어 피부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을 스스로 감지하지 못하는 것을 주요 발병 원인으로 지적하고, 이들의 피부 손상에 대한 취약성을 찾아내기 위해 ▲인체 압력분포와 족부의 수분함량, ▲피부조직, ▲혈관 등을 메디컬 트윈화하여 인공지능으로 진단하고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PHR) 플랫폼 라이프레코드를 활용한 ▲메디컬 트윈 데이터 수집 및 신뢰성 검증, ▲진단∙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시간 알림 시스템 구축, ▲족부궤양(당뇨), 압박궤양(욕창)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데이터 프로파일링과 공통 데이터 처리 모델링 수립,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메디컬 플랫폼 구축 및 실증 서비스 등을 준비한다.

(후략)

출처 : 메디컬월드뉴스 (https://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9611)

top